본문 바로가기
고양이 정보

고양이, 털이 있으니까 추위에 강할까요?

by Sunora 2025. 4. 28.
반응형

“고양이는 털도 많고 따뜻한 이불 속에 잘 있으니 추위에 강하겠지?”
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 많죠.
하지만 실제로는 고양이도 ‘저체온증’에 걸릴 수 있는 매우 민감한 동물입니다.

특히 실외 고양이, 난방이 안 되는 집에서 생활하는 고양이,
그리고 노묘나 어린 고양이는 체온 유지에 훨씬 더 취약한데요,
이 글에서는 고양이에게 “너무 춥다”고 느껴지는 온도는 몇 도인지,
그리고 그에 따른 주의사항과 겨울철 케어 팁까지 함께 알려드릴게요.

고양이에게 위험한 온도는 몇 도부터일까?

전문 수의학 기준에 따르면, 10°C(섭씨 기준) 이하의 온도부터는
고양이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거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‘추운 환경’으로 간주됩니다.

특히 7°C 이하로 내려가면 고양이의 체온이 떨어지기 쉬워지고,
장시간 노출 시 저체온증이나 동상, 근육 경직, 순환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.

또한, 젖은 상태로 찬 바람에 노출되면 체온 손실이 훨씬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
실내에서 키우는 고양이라도 난방이 되지 않는 공간에 오래 머무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.

고양이가 추울 때 보이는 행동 신호

고양이는 말을 하지 않기 때문에, 행동을 통해 추위를 표현합니다.
다음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면, 이미 “나 추워요!”라고 말하고 있는 거예요:

  • 몸을 작게 웅크리고 움직이지 않으려 함
  • 따뜻한 곳(햇살, 전자기기 근처, 사람 무릎 등)에 집착함
  • 평소보다 더 많이 자거나, 활동량이 줄어듦
  • 발바닥이 차갑고 귀 끝이 시린 느낌
  • 털이 바짝 서 있고, 몸을 바들바들 떨기도 함

특히 이런 행동이 지속된다면 실내 온도 조절이나 보온 대책이 시급합니다.

고양이 적정 온도는 몇 도가 가장 좋을까?

대부분의 고양이에게 가장 이상적인 실내 온도는 21°C~26°C 사이입니다.

특히 겨울철에는 난방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건조해지기 쉬우니,
온도뿐만 아니라 습도도 함께 신경 써야 해요.

고양이 겨울철 건강을 위해 아래의 팁을 실천해 보세요:

  • 따뜻한 담요, 캣하우스, 해먹 등을 여러 곳에 마련하기
  • 바닥이 찬 경우엔 러그나 패드 깔아주기
  • 겨울철 햇살이 잘 드는 곳에 낮잠 공간 만들기
  • 히터나 난로 사용 시 고양이가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
  • 습도는 40~60% 정도 유지 (가습기 활용 추천)

겨울철 야외 고양이는 더 큰 위협에 놓여 있어요

실내 고양이도 주의가 필요한데, 실외 고양이는 더 위험합니다.
특히 눈, 얼음, 바람, 젖은 환경은 생존을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어요.

만약 주변에 외출하는 고양이나 야생묘가 있다면:

  • 잠시 몸을 피할 수 있는 박스+담요 쉘터를 만들어 주세요
  • 따뜻한 물과 사료를 제공하고, 급속 냉각되지 않게 자주 갈아주세요
  • 차량 시동 전, 보닛 아래에 고양이가 없는지 꼭 확인해 주세요

작은 배려 하나가, 고양이에게는 생명을 지켜주는 일이 될 수 있습니다.

오늘부터 고양이 겨울나기, 따뜻하게 준비해볼까요?

고양이는 체온 조절에 민감한 동물입니다.
“괜찮겠지”라는 생각 대신, 고양이의 체감 온도를 함께 고려하는 마음이 필요해요.

오늘 알려드린 정보를 바탕으로
여러분의 고양이가 올 겨울도 포근하게 보낼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 주세요:)

 함께 보면 좋은 글:

  • 고양이가 담요를 빠는 이유는?
반응형